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

단타 매매, 세력 매집 구간 포착하는 방법

by 신끼루 2025. 2. 13.

MTS-단타-매매-세력-매집-구간-포착-방법-매수-타이밍
세력 매집 구간 분석

단타 매매, 세력 매집 구간 포착 방법 

- 단타 매매할 때, 상승하는 종목만 따라 들어가고 있다면 세력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 보통 MTS 단타 매매에서는 급등하는 종목을 보고 진입하는 경우가 많지만, 세력들은 일반 투자자들이 보지 못하는 숨은 매수 기회를 이용해 미리 매집한다. 

 

1. 호가창에서 '매도 잔량 이상한 움직임' 포착하기

- 세력들은 물량을 모을 때 티가 나지 않도록 '조용한 매집'을 한다. 

- 이 과정에서 특정한 호가창 패턴이 나타나는데, 이를 포착하면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 

실전 매매 방법

- 매도 잔량이 일정한 수준에서 갑자기 사라졌다가 다시 쌓이는 경우

- 매수 체결은 꾸준히 발생하는데 주가는 크게 움직이지 않는 경우 

- 큰 매도 물량이 나오지만, 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경우 

※ 이런 패턴이 보이면 세력이 물량을 매집하는 가능성이 높다. -> 눌림목에서 매수 기회 포착 

2. 체결 강도가 100~150%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 찾기

- 체결 강도가 200% 이상이면 보통 단기 상승 흐름이다. 

- 진짜 숨은 매수 기회는 100~150% 수준에서 꾸준히 유지될 때 나타난다. 

실전 매매 방법

- 체결 강도가 100~150%에서 꾸준히 유지되는 종목을 찾는다. 

- 이런 종목은 세력이 조용히 매집하는 과정일 가능성이 높다. 

- 거래량이 갑자기 늘어나기 시작하면 주가 상승 가능성이 커진다 -> 매수 진입 타이밍 

※ 체결 강도 100~150% + 거래량 증가 조합이 보이면 숨은 매수 기회다!!

3. '눌림목 거래량 패턴' 분석으로 매수 타이밍 찾기

- 단타 투자자들은 급등하는 순간만 노리지만, 세력들은 주가를 조정시키며 물량을 모은다. 

- 눌림목에서 특정한 거래량 패턴이 보이면 매수 타이밍이다. 

실전 매매 방법

- 주가가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줄어드는 패턴이 나오면 관심 종목 추가 

- 이후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면서 주가가 회복될 때 매수 진입

- 이 과정에서 호가창에 매도 물량이 감소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 세력들은 무조건 상승시키지 않는다. 눌림목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구간을 포착하면 매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단타 매매 시 세력 신호 포착하는 방법 

1) 호가창에서 매도 잔량이 이상하게 변화하는 구간을 찾는다 
2) 체결 강도가 100~150% 수준에서 꾸준히 유지되는 종목을 주목한다 
3) 눌림목에서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포착하면 매수 타이밍 

- 급등하는 종목을 무작정 따라가지 말고, 세력들이 매집하는 구간을 포착하는 것이 핵심이다. 

 


관련 글: 단타 종목 선정할 때 개미들이 가장 많이 속는 3가지 (대응 전략)

 

단타 종목 선정할 때 개미들이 가장 많이 속는 3가지 (대응 전략)

단타 매매 종목 선정 시 절대 하면 안 되는 실수 - MTS에서 단타 매매를 할 때 잘못된 종목 선정은 손실로 직결될 수 있다. 특히 호가창, 캔들 패턴, 뉴스 급등 종목에서 실수를 많이 하는데, 이를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단타 매매 입문: 거래량부터 RSI까지 완벽 정리 (조건 검색 포함)

 

단타 매매 입문: 거래량부터 RSI까지 완벽 정리 (조건 검색 포함)

단타 매매 최적화된 조건 검색식과 실전 꿀팁 1. 시작 전, 시장 분위기 & 당일 테마 파악 1) 장 시작 전 뉴스 & 주요 이슈 체크- 해외 증시 흐름, 경제지표 발표 일정, 정치/경제적 이슈 등을 먼저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초보 기업 재무제표 분석 방법, 3가지 핵심 포인트

 

초보 기업 재무제표 분석 방법, 3가지 핵심 포인트

초보 기업 재무제표 분석 방법, 3가지 핵심 포인트 -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분석이다.  1.

ordinary-being.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