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

52주 신고가 돌파 매매 방법, 강세 종목 잡는 법 (주식 초보)

by 신끼루 2025. 2. 21.

52주-신고가-돌파-매매-방법-강세-종목-잡는-방법-주식-초보
52주 신고가 돌파 매매

52주 신고가 패턴 매매 방법 (초보도 쉽게)

- 52주 신고가(1년 최고가)를 돌파한 종목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 이 패턴을 이용하면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이는 종목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왜 52주 신고가 패턴이 중요할까?

- 상승 추세가 강한 종목을 찾을 수 있다. 

- 기관/외국인의 매수세가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 신고가 돌파 후 일정 기간 상승 가능성이 높다

주요 개념 정리

- 눌림목 매매: 신고가 돌파 후 조정을 거친 후 상승할 때 매수

- 손절라인 설정: 직전 저점 or 이동평균선 이탈 시 손절 

- 목표가 설정: 신고가 돌파 후 직전 상승폭의 1.5~2배

52주 신고가 패턴 매매법 4단계 

 

1) 52주 신고가 종목 찾기

- 조건 검색식 설정: 52주 신고가 돌파 & 거래량 증가 종목 필터링

- 네이버/구글 증권 사이트 활용: '52주 신고가' 목록 확인 

필터링 조건

최근 5일간 거래량 증가 종목
거래대금 100억 이상 종목
신고가 돌파 후 3일 내 조정 발생 종목 

2) 신고가 돌파 후 눌림목 확인(매수 타이밍) 

- 신고가 돌파 직후 바로 매수 X 

매수 타이밍 체크 방법

신고가 돌파 후 3~5일 동안 조정 여부 확인
5일 이동평균선 지지 후 재돌파 시 매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반등할 때 추가 진입 

눌림목 매매의 핵심 포인트

- 강한 상승 후 눌림이 발생하면, 거래량이 줄어든 후 상승 반등하는 구간에서 매수

- 손절은 직전 저점 이탈 시 진행 

3) 손절 & 목표가 설정 

- 최근 저점 이탈 시 손절

- 5일 이동평균선이 하락할 경우 매도 고려 

목표가 설정

신고가 돌파 후 추가 상승폭 = 직전 상승폭의 1.5~2배 
신고가 돌파 후 거래량 급증 시 10~20% 추가 상승 가능 

가상 예시) 삼성전자 신고가 돌파 패턴

- 52주 신고가 85,000원 돌파 -> 거래량 증가
- 신고가 돌파 후 3일간 눌림목 형성 (82.500원 지지)
- 83,000원에서 반등 -> 재돌파 시 매수
- 목표가: 85,000원 돌파 후 10% 추가 상승 목표(93,500원)

4) 실전 매매 사례 분석

- 신고가 돌파 후 눌림목 확인 후 매수

- 5일 이동평균선 상승 시 추가 진입

- 목표가 설정 & 손절라인 필수 설정

52주 신고가 패턴 매매, 활용 방법

- 52주 신고가 돌파 패턴을 활용하면 강한 상승 흐름을 타는 종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하지만 바로 매수 X, 눌림목을 확인 후 진입해야 안정적

- 손절라인(최근 저점 or 이동평균선) 설정 필수

- 목표가 설정 후 리스크 관리하면서 안정적으로 운용 

 


관련 글: 프로그램 매매를 활용한 장 막판 단타, 성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 매매를 활용한 장 막판 단타, 성공하는 방법은?

장 막판 단타가 수익을 극대화하는 이유와 매매법- 주식 시장에서 장 마감 직전(오후 3:10~3:30)은 변동성이 가장 큰 시간대다. 이 시간대에는 큰손(기관, 외국인)과 개미 투자자의 매매가 격렬하게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틱 차트(Tick Chart) 보는 법과 실전 매매 방법 총 정리

 

틱 차트(Tick Chart) 보는 법과 실전 매매 방법 총 정리

틱 차트 보는 법과 매매 방법 총 정리 - 틱 차트(Tick Chart)는 일정한 시간 간격이 아닌 거래 횟수(틱)에 따라 캔들이 생성되는 차트다. 이는 주식, 선물, 코인 등 다양한 시장에서 활용되며, 단기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초보자를 위한 시간 외 상한가 따라잡기(상따) 전략

 

초보자를 위한 시간 외 상한가 따라잡기(상따) 전략

초보를 위한 시간 외 단타 매매(상따) 전략- 시간외 단타 매매, 특히 상따(상한가 따라잡기)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매매 방식이다. 하지만 리스크 관리와 명확한 계획이 필수다.  1. 시

ordinary-being.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