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과 에너지

반도체 업종 선정 내년(2024년) 전략

by 신끼루 2023. 11. 23.

반도체-2024년-내년-종목-선정-전략
반도체 업종 선정 2024 전략

반도체 업종 선별투자 2024 공략법

- 반도체 상장지수펀드(ETF)는 오해 모든 분야를 통틀어서 가장 성과가 좋은 섹터 ETF 중 하나다. 내년(2024년) 전망도 밝은 편이다. 반도체 ETF라도 투자 분야와 비중에 따라 성과가 갈릴 수 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기업이 주도하는 메모리 분야뿐 아니라 비메모리, 파운드리 등의 투자 비중을 높이라고 조언한다.

메모리와 비메모리 차별화 될 것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반도체 ETF는 24개다. 국내 기업이 주력하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 ETF가 많다.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과반을 점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기업의 비중이 높다. 이들 ETF의 기초지수는 올해만 40~50% 올랐다. 시장 내 초과 공급이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어서다.  

 

메모리 반도체는 산업 사이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사이클에 따른 주가 변동성도 크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올해 시작된 상승 사이클이 얼마나 강하게 오래가는지가 관건이다. 글로벌 연구 조사기업 가트너 등에 따르면, 2027년까지는 상승 사이클이 계속될 것으로 관측했다. 실적 회복 기대가 주가에 상당 부분 선반영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단적으로 메모리 반도체는 삼성전자 같은 회사가 적자를 볼 때 사서, 흑자를 발표할 때 파는 게 통하는 산업이다. 적자 탈출 기대가 이미 가격에 반영된 만큼, 상승세가 이어지더라도 상승 폭은 당분간 제한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서라도 다른 분야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비메모리는 꾸준히 우상향 예상

 

 

-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의 신산업 성장 수혜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주가 변동 리스크도 상대적으로 작다는 설명이다. 국내 기업의 비메모리 시장 점유율이 3%대에 불과한 만큼, 글로벌 기업 투자가 필요하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KBSTAR 미국반도체' 등이 있다. 

 

인텔 AMD 브로드컴 엔비디아 등에 투자한다. 'KBSTAR 비메모리액티브'도 있다. 

 

반도체 분산 투자가 효과적

 

 

- 파운드리는 TSMC가 50%대, 삼성전자가 10%대 점유율을 보이는 시장이다. 국내에 상장된 글로벌 ETF들은 TSMC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분야와 함께 투자할 수 있다. TSMC는 독점력이 있는 만큼,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파운드리 비중도 일정 부분 가져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반도체 소부자(소배/부품/장비)은 변동성이 큰 섹터다. 소부자 기업의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작은 만큼, 기대수익률이 높지만 리스크도 크다. 국내에 상장된 ETF로는 'SOL 반도체 소부장 Fn'이 대표적이다. 한미반도체 HPSP 리노공업 이오테크닉스 등을 편입한다. 

 

메모리, 비메모리, 파운드리, 장비기업 등에 골고루 투자할 수 있는 ETF도 상장되어 있다. 'ACE 글로벌반도체 TOP4 Plus Solative'는 TSMC 엔비디아 삼성전자 ASML 등 분야별 대표기업을 분산해서 나눠 담은 ETF다. 

 

 

- 전문가들은 투자자의 기대수익과 투자 전략별로 반도체 투자가 달라야 한다고 말한다. 개인투자자에게는 분산하라고 조언한다. 메모리의 사이클적 특성, 비메모리의 장기 우상향 특성 등을 모두 반영할 수 있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야 한다. 하나의 반도체 ETF보다는 상관계수가 낮은 다른 ETF 여러 개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관련 글: 반도체 희소가스 중국 의존도 더 높아졌다

관련 글: CPU 대체하는 D램 기술

관련 글: 서버/배터리 액침 냉각 진출한 정유 업계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