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하기 위한 복식 호흡 방법
1. 호흡의 중요성
- 호흡은 자율신경계와 연결된 신체 기능 중 하나로, 의지에 따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거나 심장박동이 증가할 때, 느린 호흡으로 이완할 수 있다.
2. 올바른 호흡 속도
편안한 상태: 분당 8~12회
깊은 이완 상태: 분당 4~6회
3. 호흡 시 주의사항
- 코로 숨을 들이쉬고 내쉰다. 코로 호흡하면 공기가 정화되고 따뜻해지며, 체내 흡수가 용이해진다.
- 숨을 내쉴 때는 입술 오므리기 호흡을 사용한다. 입술을 살짝 다물고 천천히 숨을 내쉬면 긴장이 완화된다.
- 억지로 호흡을 조절하려고 하지 말고, 리듬에 맞춰서 자연스럽게 한다.
4. 복식 호흡 제대로 하기
- 복식호흡은 폐아래쪽과 복부를 사용하는 호흡 방법으로, 긴장 완화에 효과적이다.
1) 누워서 연습하기
- 한 손은 가슴에, 다른 손은 배에 올린다. 숨을 들이쉴 때 배가 올라가고, 가슴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2) 앉아서 연습하기
- 손을 배에 대고 숨을 들이쉴 때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느낀다.
5. 제대로된 호흡 연습 방법
1) 복식호흡 연습
- 오른손을 배에 올리고 숨을 들이쉴 때 배가 올라가는 것을 느낀다.
- 천천히 내쉬면서 배가 내려가는 움직임에 집중
2) 호흡 리듬 세기
- 30초 동안 호흡 횟수를 측정해서 분당 호흡수를 계산한다.
- 15회 이상이면 호흡 속도를 줄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3) 입술 오므리기 호흡
- 코로 들이쉬고, 입술을 살짝 다문 상태에서 천천히 내쉰다.
- 뜨거운 수프를 식히듯이 숨을 내쉬는 이미지를 떠올린다.
4) 숨을 내쉬는 시간 늘리기
- 들이쉬는 시간의 2배 이상 길게 내쉰다.
예) 들이쉬며 "하나 둘", 내쉬며 "하나, 둘, 셋, 넷"을 마음속으로 센다.
5) 배를 풍선처럼 부풀리기
- 숨을 들이쉴 때 배가 풍선처럼 부풀고, 내쉴 때 천천히 공기가 빠져나간다고 상상한다.
6. 추가 호흡 연습
1) 양손을 배에 올리기
: 복식호흡에 집중하면서 복벽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2) 따뜻한 물체 활용
: 배에 보온 주머니를 올리고 복식호흡으로 움직인다.
3) 냄새를 상상하기
: 좋아하는 향기를 떠올리며 긴장을 완화한다.
7. 몸의 긴장 완화와 연결
1) 몸 가라앉히기
- 누운 상태에서 몸이 바닥으로 스며들듯 가라앉는 이미지를 상상한다.
- 숨을 내쉴 때마다 몸이 더 무거워지고 긴장이 풀리는 것을 느낀다.
2) 흔들리는 배 상상하기
: 파도가 배를 살짝 흔들 듯,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복벽이 움직이는 이미지를 떠올린다.
3) 에너지 호흡
: 들이쉴 때 힘과 에너지가 들어오고, 내쉴 때 불안과 긴장이 빠져나간다고 상상한다.
관련 글: 분위기를 바꾸는 인테리어 팁: 색과 식물 조화
분위기를 바꾸는 인테리어 팁: 색과 식물 조화
분위기 바꾸는 식물 인테리어 - 식물은 단순한 장식 이상의 역할을 한다. 스트레스 완화, 생산성 향상, 창의성 증진 등 다양한 심리적 효과를 제공하며, 공간에 생기를 더해 준다. 각 색상이 주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즉각적 만족 왜 포기하기 힘들까?
즉각적 만족 왜 포기하기 힘들까?
우리는 왜 즉각적 만족을 포기하기 힘들까? 1. 생존 본능-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즉각적인 생존과 보상에 민감하도록 설계되었다. - 과거에는 음식, 자원 등을 즉시 확보하는 것이 생존과 직결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감정 조절, 앵커링으로 쉽게 해내는 방법
감정 조절, 앵커링으로 쉽게 해내는 방법
감정 조절, 앵커링으로 쉽게 하는 방법- 어떤 자극이 트리거가 되어 특정 반응을 일으키는 일은 자주 일어난다. 자극과 반응의 조합은 패턴을 만들어 낸다. 앵커링 이란?- 자극과 반응의 조합
ordinary-being.tistory.com
'인생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투심의 또 다른 모습_특징 (0) | 2024.12.15 |
---|---|
작심 삼일 방지 위한 동기부여와 습관 형성 방법 (0) | 2024.12.14 |
분위기를 바꾸는 인테리어 팁: 색과 식물 조화 (0) | 2024.12.11 |
원하는 것을 이루는 확실한 10가지 방법 (0) | 2024.12.10 |
즉각적 만족 왜 포기하기 힘들까? (0) | 2024.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