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현상

불황형 소비 유통 트렌드

by 신끼루 2024. 1. 19.

불황형-소비-창고형-아울렛-실속-뷔페
불황형 소비 유통 트렌드

불황형 소비 유통 트렌드

- '불황형 소비'가 유통산업 지형을 바꾸고 있다. 창고형 아울렛과 실속형 뷔페 등 예전에 유행했었던 사업이 고물가 시대에 제2의 전성기에 접어들고 있다. 

KTX 타고도 찾아오는 고객 2배

- 이랜드리테일은 물가가 치솟은 미국에서 힌트를 얻었다. 티제이 맥스, 로스 등 창고형 아울렛에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보고 일반 뉴코아아울렛 2~5층을 전면 개조했다. 점원을 빼고 상품을 직접 매입했다. 이렇게 줄인 인건비와 중간 유통비로 할인율을 70~80%로 높였다. 그랬더니 고객 수와 매출 증가가 뒤따랐다. 

 

특히 광명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팩토리 아울렛을 찾아오는 고객이 평균 120% 증가했다. KTX로 충청권과 영남권에서 온 고객도 각각 186%, 142% 늘었다. 캐주얼/남성복 매출은 전년 대비 2배씩 뛰었다. 이랜드리테일은 오늘 3월에는 서울 천호점을 리뉴얼해서 '팩토리아울렛 2호점'을 열기로 했다. 

 

연내 13개까지 점포를 확대할 계획이다. 국내 아울렛의 원조 격인 마리오 아울렛도 지난해 10월 아디다스 재고를 싸게 파는 '아디다스 팩토리 아울렛'을 열어서 성과를 내고 있다. 

불황에 애슐리/쿠우쿠우 부활

 

 

- 불황형 소비는 외식업계에서도 두드러진다. 한때 생존을 걱정하던 뷔페 브랜드는 최근 공격적으로 매장을 늘리고 있다. 외식 물가 급등에 여러 가지 음식을 상대적으로 싸게 맛볼 수 있는 뷔페 방문객이 늘었기 때문이다. 평일 점심값이 2만 3900원(성인 기준)인 초밥 뷔페 '쿠우쿠우'는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서 2019년 125개에서 2022년 84개까지 매장을 줄였다가 지난달부터 다시 확장에 나섰다. 

 

한 달 반 만에 서울 강동/인천/대구/창원 등 4개 점포를 열었다. CJ 푸드빌의 뷔페형 패밀리 레스토랑 '빕스'도 지난해 매장당 월평균 매출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와인/맥주 무제한 서비스 등이 크게 작용했다. 중저가 뷔페인 '애슐리'는 2022년 59개이던 매장 수를 지난해 77개로 확대했다. 

 

실속형 뷔페의 부활은 1인당 10만원이 훌쩍 넘는 오마카세와 파인다이닝이 줄줄이 문을 닫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행정안정부에 따르면 작년 1~10월 서울에서만 총 577곳의 일식집이 문을 닫았다. 고가 오마카세 매장도 다수 포함됐다. 국내 최대 파인다이닝 외식기업인 오픈도 자금난에 빠져서 고급 레스토랑을 잇따라 폐점하고 있다. 

편의점에서는 초저가 PB상품이 잘 팔려

 

 

- 한때 '자체브랜드(PB)의 프리미엄화' 전략을 펼치던 편의점들은 요즘 초저가 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CU는 초저가 PB 브랜드인 '득템'의 품목을 전년 대비 두 배 수준인 40여 종으로 늘렸다. 1900원 김치볶음밥, 2900원 치킨 등 일반상품(NB) 대비 20~50% 싸다 보니 NB보다 더 잘 팔린다. 

 

초저가를 넘어 초초저가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선 중국 직구 앱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급부상도 불황형 소비 확산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앱 시장 조사업체 와이즈앱, 리테일, 굿즈 등에 따르면 알리와 테무는 작년 한국인 사용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앱 1,2위에 올랐다. 

 

알리의 지난달 월간 활성이용자(MAU)는 713만 명으로 쿠팡과 11번가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관련 글: 커지고 있는 솔로 이코노미

관련 글: 가격 통제와 소비자/생산자 잉여, 슈링크플레이션 |경제 공부

관련 글: 음식 소비도 극과극 |유기농과 편의점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