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현상

중국 서민 경제 현실

by 신끼루 2024. 2. 4.

중국-서민-경제-현실
중국 서민 경제 현실

중국 서민 경제 현실

치솟는 연체율, 얼어붙은 고용

- 중국 주요 은행의 플랫폼 연계 소액대출 연체율이 최근 3.5~4.0% 수준까지 치솟았다. 한 은행은 2021년까지 2.0% 수준으로 관리되던 연체율이 작년 말 기준 3.6%로 상승했다. 은행들이 역마진을 걱정해야 하는 위험수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금융가에 따르면 알리바바/진동닷컴/핀둬둬 등 중요 플랫폼을 통한 전체 소액대출 규모는 7조 위안(약 1300조 원)으로 추정된다. 

 

연체율이 4%면 연체금액은 50조원이 넘게 된다. 연체율이 더 올라갈 경우, 중국 서민들의 연쇄 파산이 속출할 수 있다. 중국 전체 은행의 신용대출 규모도 2019년 9월 11조 2700억 위안에서 작년 9월 28조 7400억 위안으로 늘었다.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해 금융권 '블랙리스트'에 오른 중국 성인(18~59세)은 작년 854만 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용시장도 얼어붙었다. 중국의 청년 (16~24세) 실업률은 작년 6월 역대 최고치인 21.3%를 기록한 후 한동안 발표가 중단되기도 했다. 임금은 하락하는 추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중국 38개 주요 도시의 신입사원 월평균 급여는 전년 동기보다 1.3% 하락한 1만 420위안(약 190만 원)을 기록했다. 집계가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공동부유'에 타격 받은 부동산

 

 

- 이러다 보니 소비심리는 꽁꽁 얼어붙었다. 작년 4~5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소매판매는 점점 둔화하면서 12월 7.4%, 연간 7.2% 증가에 그쳤다. 내수가 위축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0.3% 하락하는 등 최근 3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생산자 물가는 지난달(-2.7%)까지 15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작년 5.2%보다 0.6% 포인트 낮은 4.6%로 제시했다. 소비여력이 있는 계층도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지출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부동산 시장도 더욱 침체되고 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활황기에 주택이 과잉 공급됐다가 2020년부터 급속히 가라앉기 시작했다. 정부가 '공동부유'(다 함께 잘살자)를 내세우며, 시장의 거품 해소를 명목으로 자금 규제에 나선 결과다. 중국 주택 가격은 지난해 7월(-0.1%) 이후 지난달(-0.4%)까지 줄곧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헝다/비구이위안 등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금융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중국 부동산 총액은 약 60조 달러로 미국의 세배 수준이고,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차지한다. 온탕과 냉탕을 오가는 정부 정책이 결국 부동산 위기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간첩법/미국 봉쇄에 외국자금 이탈

 

 

-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 약화에 외국인 투자자들도 빠져나가고 있다. 중국 구가외환관리국(SAFE)에 따르면, 작년 중국에서 외국으로 빠져나간 돈은 687억 달러(약 92조 원)였다. 2018년 858억 달러 후 5년 만의 첫 자본 순 유출이다. 반간첩법 강화로 외국 기업의 활동이 위축되고, 미국이 반도체 양자컴퓨터 등 첨단 산업에 대한 대중 투자를 봉쇄한 것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국유기업을 활성화하고 민간기업은 억재하는 국진민퇴 통제정책이 외국 기업을 적으로 돌렸다는 지적이 있다. 외국인 자금 이탈은 증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 지수는 지난해 11.4% 떨어지는 등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서도 3% 가량 빠졌다. 블룸버그는 일본이 부동산/주식시장 거품이 터진 뒤 "잃어버린 10년"을 보낸 것처럼 중국도 장기간 불황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구도 202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하면서 구조적인 성장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인구는 작년 말 기준 14억 967만 명으로 전년 대비 208만 명 감소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의 인구 감소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매년 경제성장률을 0.4% 포인트씩 낮출 것이라고 추산했다. 

2조 위안 증시 안정기금 투입 통할까?

- 중국 정부가 올해 들어서 중국 경제의 이상신호가 지속되자 '특단의 대책'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지방정부도 부동산 규제 완화, 외국인 투자자 유인책 등을 줄줄이 내놓고 있다.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의지가 감지된 것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위안(약372조원)의 증시안정화기금을 조성해 중국 증시에 투입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 서다. 

 

중국 증권감독관리 위원회(CSRC)는 양도제한주식(일정 기간 양도가 제한되는 주식)의 대여를 29일부터 전면 금지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여 주식이 공매도 물량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금지함으로써 시장의 매도 압력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3월 18일부터는 주식 리파이낸싱 시장에서 일부 주식 대여의 효율성도 제한할 예정이다.

 

 

-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3월 5일부터 금융회사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기존 조정폭(0.25% 포인트)의 두 배 수준이다. 지존율은 은행이 유치한 예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자금 비율이다. 지준ㅇㄹ이 낮아지면 은행의 대출 여력이 확대돼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번 조치로 시장에 1조위안(약 186조 원)의 자금이 풀리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민은행이 이달까지 5개월째 동결해 온 기존 금리를 빠른 시일 내 인하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관궁성 인민은행장은 지준율 인하를 발표하면서 "올해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지고 있는 부동산 규제 완화

- 로이터동신에 따르면, 전날 광동성 광저우시 정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120㎡ 이상 집을 주택 구입 제한에서 제외했다. 주거부동산 데이터연구센터의 왕사오창 분석가는 "광저우가 중국 1선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 중 처음으로 구매 제한 정책을 크게 완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사우스파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궁정 상하이시장은 기자회견에서 "토지이용, 금융 등 분야에서 더 많은 정책 보장을 제공해 더 많은 외국 기업이 투자하도록 독려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글: 중국 경제 리스크 '부동산'

관련 글: 일대일로 정책 상황과 전망

관련 글: 세계 인구 감소와 경제 관계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