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발사장 포화에 '우주공항'
- 인공위성과 탐사선 등을 우주로 보낼 발사체(로켓)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미국 내 주요 로켓 발사장들이 포화상태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이 소유한 발사장이 아니라 민간 수요에 맞춘 '국가 우주공항'을 건설하자는 목소리가 미국에서 나오고 있다.
스페이스 X는 지난달 145건 발사
- 스페이스 X는 지난달 31일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에서 스타링크 통신위성 21기를 실은 팰컨 9 로켓을 발사했다. 스페이스 X는 작년 정찰/통신 위성이 주로 활동하는 지구 저궤도(2000km 이하)를 향해 총 134회 로켓을 발사했다. 2.7일에 한 번 꼴로 로켓을 쏘아 올린 것으로 2023년 96회보다 약 40% 증가했다.
미국 정부와 민간 발사 계획 때문에 병목 현상 심화
- WSJ(월스트리트 저널)은 "우주 기업은 자체 위성, 고객 탑재물을 우주로 운반하면서 비행 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이미 발사장이 포화 상태"라고 지적했다.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우주 발사채 시장 규모는 2022년 142억 1000만달러에서 2030년 319억 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는 급한 대로
케이프커내버럴과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의 발사 횟수를 늘리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지만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뿐 아니라 민간 달 탐사선, 민간 국제우주정거장 발사 수요 등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사장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우주 공항 건설 모색
- 단순한 로켓 발사 개념을 넘어서 재사용 발사체 특화 착륙장과 상시 우주여행 인프라, 우주선 수송/정비를 아우르는 '스페이스 포트 콤플렉스' 구축이 목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 주도로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연내 밑그림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발사대는 민간 수요에 맞지 않을 수 있다
- 발사체 크기 별로 발사대를 구축하는 일이 핵심이 될 것이다.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의 스페이스 X 전용 발사 시설인 '스타베이스'가 발사대 렌털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내에
- 민간 우주로켓 발사를 위한 전용 발사장과 로켓-탑재체 조립 및 비행 시험 등을 수행하는 발사체 기술사업화 센터 구축이 예정되어 있다. 미국 내에서 거론되는 국가 우주공항과 비슷한 인프라다. 단, 고흥은 발사 시 지구 중력의 저항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적도에서 거리가 먼 데다 일본, 중국 등 이웃 국가가 인접해 상시 발사장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다.
관련 글: 초소형 위성으로 신시장 개척한 '나라 스페이스'
초소형 위성으로 신시장 개척한 '나라 스페이스'
초소형 위성으로 신시장 개척한 '나라 스페이스' - 인공위성으로 확보한 이미지는 국방뿐 아니라 농업, 금융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한다. 특정 대륙에 농작물 작황이 어느 수준인지를 위성으로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로봇/AI 산업 종류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로봇/AI 산업 종류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로봇/AI 분야 1. 로봇이 택배 포장/출고 - CJ 군포 스마트 물류센터에서는 현재 로봇 126대로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여러 고객사의 상품을 공동으로 보관했다가 재고 관
ordinary-being.tistory.com
관련 글: 가상현실/로봇도 촉감 시대
가상현실/로봇도 촉감 시대
AI 시대 주목받는 '햅틱 기술' - 미래 인공지능(AI) 시대를 한 단계 더 진보시킬 기술로 햅틱(haptic, 촉각)이 부상하고 있다. 키보드와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스크린, 웨어러블 슈트/장갑 등에 진동
ordinary-being.tistory.com
'투자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와 저항 활용한 저점 매수와 고점 매도 전략 (0) | 2025.01.10 |
---|---|
상가 의무 비율 폐지 영향 (0) | 2025.01.09 |
단순/반복 작업 대신하는 AI 로봇_CES (0) | 2025.01.07 |
효도하는 로봇 개_시니어 테크 (0) | 2025.01.05 |
미국 전문직 비자 H-1B 앞으로의 방향성 (0) | 2025.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