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과 에너지

2차 전지 전구체와 음극재 중요성

by 신끼루 2023. 11. 5.

전구체-음극제-중요성-2차전지-음극재
전구체 음극제 중요성

음극재와 전구체의 중요성

-  2023년 현재, 글로벌 배터리 음극재 시장의 84%는 코크스 기반의 인조 흑연이다. 그리고 얼마 전 중국은 인조흑연과 천연 흑연(인조 및 천연 모두 고순도/고강도/고밀도 제품에 한함)을 수출 통제 리스트에 추가했다. 글로벌 흑연시장 중국의 점유율은 61% 수준이다. 

 

이번 수출 통제가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에 심각한 생산 차질을 가져올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음극재가 아닌 흑연 제한

- 배터리용 음극재 시장 내 중국의 점유율은 95%다. 한국 배터리 3사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 유일의 음극재 제조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의 현재 CAPA(천연흑연기반 음극재 5만 톤)와 고객사 매출 비중(LGES 50%, 삼성 SDI 15%, SK on 15%, Ultium Cells 10%, 기타 10%) 감안할 때, 

 

국내 배터리 3사의 중국 음극재 의존도는 최소 80%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배터리 기업들이 만나는 접점은 흑연이 아닌 음극재라는 것과 배터리 기업들의 중국 음극재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걸 감안할 대,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가 배터리 생산에 큰 영향을 줄 거라고 보기 어렵다. 

군사 용도 활용에 대한 대응 목적

 

 

- 중국 탄소협회장이 지난 번 인터뷰에서 '3고(고밀도/고순도/고강도) 흑연의 경우 군사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서 수출 통제 리스트에 포함 돘지만, 해외 민간 사용의 경우 정상적으로 수출 허가가 날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언급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민간 영역에서의 수출 제한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번 수출 통제로 인한 단기적인 실적 영향은 미미하다. 단, 이번 이슈로 인해 근본적으로 생각해봐야 할 점이 2가지 있다. 

원재료 내재화 가속화

- 2019 한일 반도체 무역 분쟁이랑 비슷하게 갈 수 있다.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군의 국산화가 빠르게 추진된 지난 4년간의 흐름, 그리고 여전히 진행 중인 소재 국산화 추이를 고려할 때, 배터리 산업 역시 유사하거나 더 강한 국산화 추진이 예상된다. 

 

배터리 핵심 소재 중 중국 의존도 80% 이상인 소재군은 음극재 및 그 원재료인 흑연, 그리고 양극재의 원재료인 전구체(중국 의존도 약 90%)다. 

1) 음극재

- 포스코 퓨처엠은 현재 천연 흑연 음극재의 원재료인 구형 흑연을 전량 중국으로부터 수입 중이다. 단, 이를 근본적으로 내재화하기 위해 구형 흑연의 원재료인 인상흑연을 계열사를 통해 내재화( 포스코 인터내셔널)하고 이를 국내에서 구형화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인조흑연기반 음극재 (현재 CAPA 약 8천t, 2026년 5,8000톤, 2030년 153,000톤 전망) 비중을 높여서 중국 의존도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인조 흑연 음극재의 경우, 원재료인 침상코크스를 현재 자회사 PMC머티리얼즈로부터 조달받아 100% 내재화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도 이런 구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2) 전구체 

- 중국 의존도가 높은 원재료 중 하나인 전구체 관련 한국 기업들의 장기 실적 가시성이 높을 수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구체 역시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IPO 수요 예측을 앞두고 있는 에코프로 머티리얼즈 역시 매우 성장성이 높을 수 있다. 

속도조절 리스크 (Valuation De-rating)

 

 

- 이번 흑연 수출 통제를 통해, 중국은 생산에 직접적인 차질은 주지 않지만 핵심 원료의 주인이 누구인가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줬다. 미국 및 유럽 정책 당국 역시 전기차 산업이 갖고 있는 근본적 리스크를 재차 인지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 성장이 여전히 각국의 정책(탄소 배출 규제 및 수요 보조금)에 기반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제시하는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침투율 65% 목표는 과도할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의 전기차 육성 정책 속도 조절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관련 글: 도시 효율 높이는 네덜란드 '지속 가능 에너지'로 자급

관련 글: 포스코 2024년 수소환원 제철소 건설

관련 글: 앞으로 20년간 폭풍 성장 한다는 | 폐배터리 산업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