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

신약 R&D 기업이 계속 적자 나는 이유

by 신끼루 2024. 10. 13.

신약-R&D-개발-예산-후반-부터-정부-지원
신약 개발 예산 정부 지원

신약 R&D 하면 할수록 적자인 이유

- 올해까지 상장 규정을 못 지키면 내년 관립종목에 편입될 가능성이 있는 기술특례 상장 바이오 기업이 9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까다로운 상장 규제가 바이오업계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각종 규제로 상장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 회수 시장이 막히면 바이오업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비상장 바이오 기업 투자 시장도 막혀서 악순환이 이어진다. 

 

11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매출 30억 원 미만이 지속돼 올해 관리종목 편입 유예 기간(5년)이 끝나는 코스닥 시장 상장 바이오 기업은 총 8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2곳은 거래가 정지됐고 6곳은 주식시장에서 거래 중이다. 거래소 상장 규정에 따르면 3년간 2회 이상 자기 자본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법인세 비용 차감 전 당기순손실'(법차손)이 발생하거나 매출 30억원 미만 혹은 자본잠식률 50 % 초과 시 관리 종목으로 지정된다. 올해 법차손 요건에 걸려서 관리종목 편입 유예기간(3년)이 끝나는 코스닥 상장 바이오 기업은 총 3곳이다.

 

한국은 2005년 부터 시작된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도입

 

 

- 하지만 20년 전 틀이 바뀌지 않다 보니 혁신 바이오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차손 요건은 신약 개발이 진척돼 연구개발(R&D)과 임상이 진행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한국 보건산업 진흥원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분야 기술평가 특례 상장 기업의 83%가 법차손 요건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 

 

신약 개발에 최소 10년이 걸리는데, 한국에서는 R&D를 하면 할수록 경영 리스크가 커진다.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갈라파고스 규제'다. 매출 요건의 경우, 기업이 본업에 집중하지 못하도록 쓸데없는 인수합병(M&A)을 부추기는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다수의 신약 개발 기업은 매출 요건을 맞추느라 제빵/화장품/건강 기능식품/손세정제 회사 등 엉뚱한 기업을 인수했다. 한 바이오 기업 대표는 "미국/유럽 기업과 경쟁하려면 10년간 한 우물을 파도 모자란데, 국내 상장 규정은 신약 개발 본업에 어렵게 되어 있어 결국 '불량 기업'만 생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 보건복지부는 법차손 산정 시 R&D의 자산화 범위를 확대하고 매출액 요건도 완화해 줄 것을 수차례 금융감독원에 건의했지만 개인투자자 보호를 명분으로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으로 가는 'K바이오 펀드'

 

 

- 2021년 문재인 정부 시절 보건복지부는 코로나 19 사태를 겪은 뒤 백신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키우고 기술 수출 대신 임상 3상까지 자체 비용으로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자는 취지에서 1조 원 규모의 초대형 펀드 조성 정책을 수립했다. 2022년 예산에 처음 반영했고, 그해 9월 펀드 운용사를 선정했다. 

 

하지만 펀드 결성까지 1년 3개월이 소요됐다. 보통 6~9개월이 걸리던 펀드 결성이 계속 미뤄졌다. 코로나 19 팬데믹 등의 여파로 바이오 투자심리가 급랭한 탓이다. 투자업계에서는 펀드 규모를 1000억 원대로 줄일 것을 정부에 수차례 건의했다. 펀드 자금을 빨리 모으고 벼랑 끝에 몰린 기업들의 숨통을 서둘러 터줘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그런데도 복지부는 메가 펀드 조성을 고집했다. 결국 펀드 자금 모집은 난항을 겼었다. 펀드 규모도 5000억 원, 2500억 원으로 줄었다. 복지부가 자체 에산 300억, 국책은행 300억 원을 출자하기로 했는데도 민간 투자자를 모집하기 어려줬다. 시장의 차가운 반응에 일부 운용사는 자격을 반납했다. 

 

결국 1호와 2호 펀드는 정책 발표 후 2년이 지나 '늑장 결성'됐다. 펀드 규모도 각각 1500억 원 규모로 쪼그라들었다. 최근 조성 중인 1000억 원 규모의 4호 펀드에는 기존 출자자인 산업은행 등 국책 은행은 아예 빠지기로 했다. 이것을 메우느라 복지부의 출자액은 직전 150억 원 (3호 펀드)에서 40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시장 수요와 멀리 있는 '펀드 양산'

- K바이오 펀드는 백신 관련 국내 기업과 임상단계 바이오/헬스 분야 기업이 투자대상이다. 전 임상(동물심험) 단계 수준의 초기 신약 개발 회사는 지원 대상이 아니다. 이들은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 2000여 개 가운데 80~85%(1600~1700)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엉뚱한 펀드를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달 결성될 3호, 운용사 선정을 앞둔 4호, 앞으로 조성될 5호까지 합치면 총 6000억 원 규모다. 업계가 위기 상황인 만큼 K바이오펀드가 벼랑 끝에 몰린 우량 초기 신약 개발사를 우선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분기 상장 바이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16.5% 감소했다. 한 바이오업체 대표는 "정부 펀드라면 민간 펀드가 못하는 이느 기술이 사장될 위기에 처한 우량 기업을 우선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지적했다. 

소액 투자 펀드가 더 절실

- 업계에서는 '백신 개발'과 '임상 3상 자체진행'이라는 비현실적인 조건을 바꾸거나 새로운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 세계 백신 시장은 미국 화이자, 프랑스 사노피 등 소수의 글로벌 대형 제약사가 독과점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 회사의 전체 연구비는 연간 4조 원으로 미국 화이자 (17조 7000억 원), 스위스 로슈(18조 9000억 원) 등과 비교해서 경쟁 자체가 안 된다. 

 

한 제약사 대표는 "항암제 등 신약의 글로벌 임상 3상에는 1조~2조 원이 필요하다. 이를 감당할 기업이 국내에는 거의 없다:고 했다. K바이오펀드의 투자 조건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얘기다. 정부가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500억 원 이하의 소규모 펀드, 재기지원 펀드, 인수합병(M&A) 지원 펀드 등을 제때 내놨어야 한다"라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 관계자는 "업계 의견을 수렴해 다양한 펀드 정책을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 글: 세포/유전자 치료 이제 국내에서도 가능

관련 글: 자금난에 문 닫는 중소 신약 개발사

관련 글:  늘어나는 바이오마커(생체지표자) 특허 출원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