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과 기업

자금난에 문닫는 중소 신약 개발사

by 신끼루 2024. 10. 4.

중소-신약-개발사-돈줄-막혀
중소 신약 개발사

중소 신약 개발사 자금난

- 미국에서도 탐낸 희귀병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한 A사는 최근 임상 1상에 성공하고도 2상을 포기했다. VC들이 후속 투자를 주저해서 운영자금이 바닥나는 바람에 연구 인력을 대거 내보냈기 대문이다. 바이오업계의 자금난이 장기화하면서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 구조조정, 유휴 장비 매각, 인력 감축에 나서는 것은 물론 연구소를 폐쇄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신약 개발산업의 '공동화' 우려까지 나올 정도다.

팔 건 다 팔고 직원도 내보내

 

 

- 국가 임상시험지원재단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다국가 임상은 2020년 15건에서 2023년 31건으로 두배로 증가랬다. 글로벌 임상 시험에 나서는 유망 신약 후보물질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하지만 임상 건수 증가는 바이오기업에 비용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신약 개발이 잘 될수록 더 많은 임상 비용이 들기 때문에 회사는 역설적으로 더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라고 했다. 상장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의 1분기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3.6% 줄었고, 연구개발 인력도 감소세로 전환했다. 

 

일부 바이오기업은 자체 연구시설을 없애고 여러 기업과 돈을 모아 '공유 연구실'을 마련해 연구 기능만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자금 혹한기가 1~2년 더 지속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한 회계법인 대표는 "우량 기업들도 장기전에 대비해 미리 '실탄 구하기'에 나서면서 어려워진 바이오회사들은 대부분 경영권을 내놓은 상태"라고 전했다. 

바이오 연관 산업도 타격

 

 

- 신약 개발이 타격을 받자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특허법인 등 연관 산업도 불황의 늪에 빠졌다. 국내 주요 상장 CRO 6곳 가운데 4곳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뒷걸음질 쳤고 6곳 중 5곳은 영업이익이 줄거나 적자전환했다. 기업이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면 동물실험(전 임상)과 환자 대상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임상)을 하는데,

 

이를 대행해 주는 곳이 CRO다. 한 CRO 관계자는 "임상 1상을 통과한 바이오기업 중 돈이 없어 2상과 3상 비용을 지급하지 못한 업체가 많다"라고 했다. 특허법인들도 일부 바이오회사가 신약개발에 따른 특허 출원과 등록 수수료 지급을 중단하자 자체 비용으로 충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투자 유치를 보장하는 기업 사냥꾼 활개

- 일부 바이오 기업은 '지푸라기라도 잡아 보자'는 심정으로 투자 유치를 위해 경영컨설팅으로 둔갑한 '기업 사냥꾼' 세력과 접촉하고 있다. 한 벤처캐피털 대표는 "전과 이력이 있는 전주는 뒤에 숨은 채 훌륭한 스펙을 가진 인재를 앞세워서 영업을 하고 다닌다"라고 말했다. 

 

기업사냥꾼 B사는 홍보비, 번역비, 출장비 등 비용 지급과 관련해서 우러 100만 원 한도의 법인카드를 요구한다. 해외 출장 시에는 일당 50만 원과 별도의 비용을 요구했다. 한 벤처캐피털 대표는 "법인카드 발급 요구는 불법 소지가 큰 사안이다. 모기업사냥꾼이 10개 바이오기업에서 한꺼번에 법인카드를 발급받아 쓴 사례도 봤다"라고 말했다. 

 

B사는 계약서에 착수금 1000만 원과 월보수 700만 원도 명시했다.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투자유치가 성사된 경우 성공보수로 투자유치 금액의 5%를 3 영업일 내 입금할 것도 요구했다. 인수합병(M&A) 시에도 5~10% 수준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월보수와 성공보수를 동시에 요구하면서 업계 통상 수준의 2~3배로 정한 계약서는 처음 본다. 이런 '불공정 계약서'로는 회사가 금세 껍데기만 남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관련 글: 세포/유전자 치료 이제 국내에서도 가능

관련 글: 국내 최초 공공 벤처 캐피털(VC) 신설

관련 글: 2024년 제약/바이오 주요 이슈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