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과 에너지

PF 위기 불러 온 원인

by 신끼루 2024. 4. 14.

 

PF-위기-원인
PF 위기 원인

PF 위기를 불러온 원인

- 책임준공 등 시공사가 모든 리스크를 떠안는 불공정 구조 등으로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PF 사업 약정의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한국건설 산업 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부동산 PF 약정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보완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불공정한 약정서 

 

 

- 부동산 개발사업의 주요 약정서에는 책임준공, 채무인수(연대보증), 공사비 조정 불인정 등의 불공정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고금리 지속과 시장 침체 등으로 작년 하반기부터 사업성이 악화한 것과 맞물려 PF 부실 위험이 가중됐다는 게 연구원의 진단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PF 약정에서 시공사의 책임준공 면제 사유로 전쟁이나 지진 등만 언급되어 있다. 민원 및 자재수급 지연, 노조파업 등의 예외 사유는 허용되지 않고 있다. 분양률이 저조해서 시행사가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건설회사는 자기 자금을 투입해 준공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준공 기간이 하루라도 지나면 건설사는 시행사와 함께 PF 채무를 상환해야 한다.

 

과도한 수수료 요구 등 금융권의 '갑질'도 문제

 

 

- 자금 신규 조달과 차환을 어렵게 해서 개발사업 부실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부동산 개발사업은 시행, 시공, 금융이 협업해 이뤄지는 사업인데 지난 20년간 특정 참여자(시공사)가 대부분의 위험을 지는 구조로 운영되어 왔다"라고 지적했다. 

 

불공정한 약정으로 부동산 침체기 건설사의 대량 도산 리스크가 커지고, 이로 인해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전반에 불안이 확대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은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가 PF 계약 내용 중 현저하게 공정성을 잃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에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금융 감독원과 국토부가 행정지도 형태로 가이드라인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도 3월에 "시장에서는 금융사가 갑, 건설사는 을"이라면 금융권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관련 글: 불황 경고등 NPL 늘어 경매 물건 쏟아지고 가계 부채 늘어

관련 글: 공사비/미분양 부담으로 공공택지 반납 늘어

관련 글: 청년 맞춤 공유 임대 아파트 출시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