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현상

미국 금리 인상 역사와 경기 침체

by 신끼루 2022. 6. 26.

1970년대 이후 미국의 금리인상기 8번 중 6번은 경기침체로 이어졌다. 

미국-금리인상-역사
미국 금리인상 역사

낙관적 시나리오를 가정해도 경제 침체 가능성이 높다

- "내년이나 후년쯤 스태그플레이션 상태가 될 것"이라고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은 전망했다. 세계 최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년 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이 35%"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고, 도이체방크는 "내년 말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는 것이 현재 기준 시나리오, 경착률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미국 CNBC가 경제학자, 펀드매니저, 투자 전략가 등 30명의 시장 전문가에게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일으킬 것으로 보느냐고 묻자, 57%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대로 "금리 인상 타격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 펀더멘털(경제 기초 체력)이 과거와 비교해서 훨씬 양호하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 인상 스케줄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시장에서는 올해 3월 시작된 금리 인상 사이클이 내년 중반까지 3% 포인트 가량 오르며(금리 상단 기준 0.25% -> 3.25%)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 94년 수준에 맞먹는 가파른 인상이다. 하지만 기업 및 가계 부채가 많지 않아, 금리가 올라도 신용 위기가 발생할 확률이 낮고, 팬데믹 기간 저축을 많이 해둬서, 소비 여력이 충분한 데다 완전 고용에 가까 울만큼 실업률도 낮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 실제로, 기업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스프레드(회사채 신용등급 간 금리 격차)는 현재 2% 포인트 정도로, 2008년 금융 위기 때(6%포인트)의 3분의 1 수준이다.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도, 작년 말 기준 76.4%로 100%에 가까웠던 금융 위기 당시보다는 훨씬 안정적인 상태다. 

 

- 개인 저축액에서 과거 10년(2010~2019년) 평균 저축액을 뺀 '초과 저축 규모'도 팬데믹 이후 매달 꾸준히 플러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실업률은 지난 4월 기준 3.6%까지 떨어져서, 사실상 완전고용에 가깝다. 미국 경제의 중심인 가계 소비가 건전하고, 중산층 이상은 빚도 적고 현금도 넉넉한 상황에 과도한 우려로, 주가가 크게 조정받는 등의 위험요소가 줄었다는 분석이다. 

'펀더멘털 양호 허점' 많아

- 우선 기업 채무의 경우, 부채가 많거나 신용도가 낮아, 고금리가 적용되는 기업 대출인 '레버리지론(변동금리)'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1조4000억달러(약1775조)로,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저소득층 대상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규모(1조 1000억 달러) 보다 많다. 

 

- 재정 상경기를 과열시키지도, 냉각시키지도 않는 수준의 금리, 자연금리(natural rate)라고도 한다.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하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 수준이다. 중립 금리보다 실제 금리가 높으면, 물가가 떨어지면서 경기가 하강할 확률이 높고, 반대로 실제 금리가 낮으면,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 높은 가계 저축률에도 허점이 있다. KB증권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기간(2020~2021년) 증가한 4조 2000억 달러의 저축액 중 3분의 2는 소득 상위 20%가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중/하위 계층은, 물가 상승을 방어할 만큼 저축을 충분히 하지 못한 것이다. 

 

- 연준이 굳게 믿고 있는 고용시장 호조도, 기업의 구인 수요가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팬데믹 사태로 15% 넘게 급감했던 미국 전체 고용자 수가 이미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기 때문이다. 팬데믹 후 이직이 잦아지면서, 한 사람이 필요한 자리에 3,4명을 구인하다 보니, 구인 공고 수가 실제 노동 수요보다 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중립금리가 관건

-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부를 것인가'가 핵심인 만큼, 결국 중립금리가 답이다. 중립금리는, 경기를 과열시키지도, 냉각시키지도 않는 수준의 금리를 말한다. 기준금리를 중립금리보다 너무 많이 올리면, 경기가 급격히 둔화할 가능성이 높고, 너무 적게 올리면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없다. 

 

- 이론상으로는, 중립금리만큼만 정확히 금리를 올리면, 인플레이션과 경기라는 두가지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문제는, 중립금리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나중에 결과적으로만 측정 가능하다는 점이다. 중립금리는, 실질성장률과 잠재성장률(과열 없이 달성 가능한 성장률)의 차이인 'GDP 갭' 등 지표를 통해서 가늠할 수밖에 없다. 

 

- 그러나 시장에서는 대체로, 미국의 중립금리가 3% 내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준은 2~3%라는 넓은 범위로 중립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시장은 현재 0.75~1% 인 기준금리가, 내년 중반 3~3.25%까지 상승하면서 금리 인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는데, 중립금리가 3% 내외라면, 경기에 큰 부담이 없어서 연착륙이 가능하다. 

 

- 반면에, 연준이 제시한 범위 보다 적은 2% 정도라면 현재의 금리 인상 스케줄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은 어느 정도 잡히겠지만, 과도한 긴축으로 경착륙이 현실화될 수 있다. 또 연준의 금리 인상 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의 봉쇄 등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2,3달 동안 발표되는 물가 및 고용지표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 

 

- 미국 외에도, 우크라이나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유럽과 고강도 방역에 힘들어하는 중국 탓에,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체 수출의 절반 가까이를 미/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 전망이 급격히 어두워지고 있다. 

 

-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4.8%)까지 오르자, 한국은행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씩 올렸다. 한은이 2개월 연속 금리를 올린 것은 15년 만에 처음이다. 수출 경기 모멘텀(동력) 약화를, 소비 경기 모멘텀 회복으로 일부 상쇄해 주겠지만, 하반기 국내 경기는 대외 불확실성, 특히 중국 경기 사이클에 크게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 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업 생존 법 4가지

관련 글: 2022년 엔데믹 소비 패턴의 변화

관련 글: 미국 퇴직 연금의 현재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