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현상

MZ세대에게 맡겨질 한국 경제 미래

by 신끼루 2023. 2. 10.

MZ세대-미래-한국-경제
MZ세대 한국 경제 미래

1%대 저성장 시대 

 - 생산가능인구가 계속 감소하면서 잠재성장률 역시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연간 성장률은 최고 1.5%를 넘어설 수 없을 것이라는 안타까운 전망이 우세하다. 더 큰 문제는 저성장 충격이 2030대 MZ세대에 집중된다는 점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가 105%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또 젊은 층 부채는 다른 세대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인구 감소 성장모형과 한국 경제에 적용'이라는 논문에서 2050~2060년 한국 경제 성장률은 평균 0.9%로 떨어지고, 1인당 GDP 증가율 역시 2.3%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의 MZ세대가 중년층에 접어드는 시점이다. 

 

문제는 인구 감소가 저성장을 부를 뿐 아니라 추가적인 성장률 하락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투자나 저축액이 줄어든다면, 저성장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인구 감소로 쪼그라든 노동력을 자본으로 대체할 수 없다면 경제 성장률은 같은 기간 0.5%로 더 추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MZ세대가 중장년층이 되면

 

 

 

- 작년 말 기준 187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가계부채와 함께 MZ세대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졌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청년층 부채가 증가한 것은 고령층으로부터 부채를 떠안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었으나 불과 얼마 전까지 저금리 등 대출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됐다.

 

주로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중장년층 세대의 부채가 주택이 없는 청년 세대에 주택을 매매/임대하면서 이전됐다는 뜻이다.  2013년 이전에는 가구주 연령이 55~59세인 그룹의 부채 수준이전체 세대(5세 단위 기준) 가운데 가장 높았다. 그러나 2014년 이후에는 35~39세 그룹에서 부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이후 전반적으로 세대 간 금융을 통한 자원 이전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됐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 2014년 이후에는 저금리 기조가 유지됐다. 정부 역시 전세금 반환보증, 전세금 안심대출, 민간 임대사업자 지원 방안 등 다양한 부동산 활성화 대책으로 이것을 부추겼다. 

세대 간 대물림 현상 

 

 

- 금융 규제를 좀 더 세심히 설계해서 미래 소득과 부채의 연계성을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게다가 한국 청년들의 불평등을 상징하던 '흙수저' '금수저' 현상이 1980년대생 이후 출생자에게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소위 MZ세대에 속하는 이들에게 부모가 부를 이전하는 '세대 간 대물림' 경향이 강해진 것이다. 

 

특히 부모 소득을 5분위로 구분했을 때 가구 소득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1980년대생 자녀 임금이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생 자녀 임금도 9.1%나 증가해서 1960년대생, 1970년대생이 각각 1%, 0.3%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과거에는 아버지 소득이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면, 1980년대생 이후에는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이 판명됐다.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중/고등학생 시절 부모의 소득이 향후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도 컸다. 자녀가 14~19세 당시 아버지 가구소득이 1% 증가할 때, 자녀 임금이 0.027%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가구소득이 10배 증가하면 자녀 임금이 27% 늘어난다는 뜻이다. 실제 작년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상위 20%의 가구 소득은 1041만 3000원으로 하위 20% 가구 소득 113만 1000원의 약 10배에 달해 가구 소득에 따른 임금 대물림을 뒷받침했다. 

 

 


관련 글: 변화하는 z세대 생활방식

관련 글: 노후 파산과 늘어나는 상속 포기

관련 글:  늘어난 캥거루족 원인과 셀프 부양 준비하는 부모

 

댓글


// 화면에 버튼 생성
top
// 버튼 클릭 시 효과 설정 // 화면에 버튼 생성
bottom